Java에서 제공하는 Calendar를 사용하면 쉽게 답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Calender는 가변객체(mutable object)인데다 클래스도 잘못 설계되어 있어 코드 모양이 어그러진다. Java 8부터는 거지 같은 Calendar 대신 LocalDate를 사용할 수 있다. LocalDate는 값 객체로 Clojure에서 사용해도 코드가 어그러지지 않는다. 조금 더 생각하면 라이브러리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풀 수 있다.
방문자가 매우 많은 사이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작업은 부담이 크다. 다행히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여러 대 두기 때문에 서버 한 대가 잘못되더라도 사이트 전면 장애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새로운 코드를 배포할 때는 항상 서버 한 대에 먼저 배포해 놓고 일정 시간 동안 모니터링 한다.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전체 서버로 배포하고, 로그에 예외나 에러가 표시되면 즉시 롤백한다.
블로그를 정적 사이트 생성기로 만들어 GitHub에 처음 올렸을 때가 생각난다. 그전에 사용했던 티스토리나 블로거에서는 글을 올리고 별다른 작업을 하지 않아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구글에서 검색이 되었다. 그래서 GitHub 페이지로 블로그를 옮긴 다음에도 언제쯤 구글에서 검색이 될까 마냥 기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