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cs에서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 찾은 방법은 SQLi를 이용한 방법과 edbi를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다. SQLi는 Emacs 기본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기능도 기본 수준이다. edbi는 SQLi보다 풍부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별도 패키지를 설치해야 하고 cpan으로 RPC::EPC::Service, DBI,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등의 Perl 모듈을 설치해야 한다.
Eclipse에서 개발할 때 Quick Fix 기능을 자주 사용한다. 입력하던 코드에 빨간색 물결 모양의 밑줄이 표시되면 바로 Cmd+1(윈도우에서는 Ctrl+1)을 누른다. 대부분의 경우 Quick Fix가 제안하는 대로만 해도 문제가 해결된다. 그런데 맥북에어에서 작업할 때는 Cmd+1을 누르려다 Cmd+Q를 누르는 실수를 자주 한다. Cmd+Q는 Mac OS X의 거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종료 단축키로 사용된다. Q와 1이 가까이 있는 데다 맥북에어는 키보드가 일반 키보드에 비해 조밀하기 때문에 1을 누르려다 실수로 Q를 눌러 의도치 않게 Eclipse가 종료되어 여간 짜증나는 게 아니었다.
쿼리를 작성하다 보면 행을 열로 또는 열을 행으로 바꾸고 싶은 경우가 생긴다. 데이터 모델을 만들 때 같은 종류의 데이터는 행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지만, 고객은 열로 표현된 형태의 보고서를 보고 싶을 수 있다. 쿼리 결과를 행에서 열로 또는 열에서 행으로 바꾸는 작업은 원리를 이해하면 어렵지 않지만 약간의 기교가 필요하다. 그래서인지 쿼리 결과의 행/열 전환은 SQL 관련 단골 질문이기도 하다.
담배값이 크게 인상되어 흡연자의 부담이 늘었지만, 주변에 담배를 끊겠다는 사람은 많아 보이지 않는다. 점심을 먹으러 가는 중 회사 동료가 담배를 피우다 장초를 버리는 모습을 보고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렇게 태우지 않은 부분이 많이 남았을 때는 피운 부분까지만 잘라내 보관했다가 나중에 다시 피우면 좋지 않을까 해서 떠올린 것이 담배 컷터다. 시가(cigar)의 경우는 시가 컷터가 있어 태운 부분만 잘라내는 것을 어디선가 본 것 같다.
보통 JDK 최신 버전을 설치해 사용한다. 운영환경에 여전히 JDK7을 쓰고 있지만 개발환경에서는 JDK8을 쓰되 -target 1.7 옵션을 주어 컴파일하면 문제가 없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런데 서버를 올릴때 계속 에러가 발생해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Spring 3.2.8 버그란다. 이 문제는 Spring 3.2.9에서 해결되었다고 하지만 운영환경은 여전히 Spring 3.2.8을 사용하고 있고, 내가 Spring 버전을 올릴 권한도 없다. 어쩔 수 없이 노트북에 JDK7을 설치할 수밖에 없다.